(본 글은 “컴퓨터 네트워킹 하향식 접근” 도서 및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수업 내용을 정리한 글 입니다.)

1.4 패킷 교환 네트워크의 지연

1.4.1 지연의 종류

  1. 노드 처리 지연

    • 패킷의 헤더를 조사하고 목적지 테이블을 통해 패킷을 어디로 보낼 지 결정하는 시간

    패킷이 지나갈 때 비트가 손실 될 수 있는데 이런 에러 확인을 위해 CRC를 추가로 붙여 데이터를 보냅니다. 이때 검사시간 필요

  2. 큐잉 지연

    • 출력 링크에서 전송을 위해 기다리는 시간

    • 트래픽이 많다면 큐잉지연은 길어지며 전체 지연시간의 지분율이 높다.

  3. 전송지연

    • 패킷을 노드에서 뽑아내는 시간을 의미 (= 패킷의 모든 비트를 링크로 내보내는 시간)

    • 하드웨어의 성능에 따라 결정

    • 패킷 길이(L) / 링크 대역폭 (R)

  4. 전파 지연

    • 비트가 한 라우터에서 다음 라우터로 전파되는데 걸리는 시간

    • 전송 지연이 하드웨어에 의해 결정됬다면 전파지연은 빛의 속도로써 거리에 비례

    • 물리 링크의 길이 (d) / 매체의 전송 속도 (s)

image

1.4.2 큐잉지연

  • 큐잉 지연은 결국 패킷이 들어오는양과 나가는양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트래픽 강도 : L(패킷길이) * a (평균 패킷 도착 비율) / R (링크 대역폭)

image

1.4.3 종단 간 지연

  • 실제 인터넷의 지연과 경로는 Traceroute프로그램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TTL을 의도적으로 1로 잡아 현재 시간을 보내면 발생하는 오류메세지를 통해 두 시간차이를 계산해 갔다 오는 시간을 계산한다.

    TTL : 패킷의 수명같은 것으로 라우터를 지나갈 때 마다 -1씩 값을 설정하고 0이되면 폐기한다. 무한루프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

1.4.4 처리율

  • 출발지와 목적지 간의 전송되는 비트 비율 (비트 / 시간)

1.5 프로토콜 계층과 서비스 모델

계층화의 장점

  • 모듈화를 통해 유지보수 용이성을 높여줌

  • 시스템의 구성요소 식별 및 관계 파악 용이

  • 변경에 대한 독립성

1.5.1 인터넷 5계층

image

  1. 물리계층 : 프레임 내부의 각 비트를 다음 노드로 전달. 통신 메체(동축 케이블, 구리선..)와 기기간의 설정을 도와주는 계층

  2. 링크 계층 : 인접한 네트워크 노드들끼리 데이터를 전달

  3. 네트워크 계층 : 출발지에서 목적지 주소로 데이터 그램을 라우팅

  4. 전송 계층 : TCP, UDP

  5. 응용 계층 : 애플리케이션

7계층으로 확장이 된다면 세션과 프레젠테이션 계층이 추가. 인터넷 프로토콜 스택에는 아래의 2개의 계층이 없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에서 구현해야 한다.

프레젠테이션 : 암호화 , 압축 기능

세션 : 동기화 , 체크포인트 등

1.5.2 캡슐화

각 계층에서는 메세지를 보낼 때 헤더를 붙여서 보내게된다. (각 페어에 도달하면 헤더가 떨어짐)

헤더에는 데이터를 어디까지 잘 받았고 문제가 없는지 식별을 위한 정보로 각 프로토콜마다 사용하는 헤더의 크기가 다르다.

각 계층마다 헤더가 붙여져 가는 과정을 캡슐화라고 한다. image

1.6 네트워크의 보안

  • 멀웨어 : 바이러스 ,웜, 트로이목마 등이 있다.

    • 트로이목마 : 정상적인 프로그램으로 위장하여 내부에서 정보를 빼돌림

    • 바이러스 : 엑셀, 첨부파일 등에 의해 감염되며 자기복제 특징이 있음

    • 웜 : 자기복제 기능이 있다.

  • 스파이웨어 : 키보드 입력과 방문기록 등을 탈취

  • 봇넷 : 감염된 컴퓨터의 그룹으로 Dos공격에 활용된다

    • Dos공격 : 특정 컴퓨터에게 과도한 트래픽을 유발시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게 서버를 다운 시킨다.
  • 스니핑 : 해커가 공유네트워크에 진입해 정보를 탈취하는 것.

  • IP spoofing : 다른 사람인 것 처럼 주소 자체를 위장

카테고리:

업데이트:

댓글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