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물 미리보기

미리보기

개요

해당 프로젝트는 GDSC에서 11/1부터 약 2주간 진행했던 개인 프로젝트 내용입니다.

xml이 아닌 Jetpack Compose를 사용하였고 api통신은 ktor을 사용하였습니다.

많이 미숙하지만 스스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고 복습하고자 글을 작성하려합니다.

디렉토리 구조

디렉토리의 경우 MVVM패턴을 사용하려고 했습니다. (완벽한 MVVM패턴은 아니라고합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MainActivity.kt
├── data
│   └── product
│     ├── detail
│     │   ├── DetailDto.kt
│     │   └── MallDtoInfo.kt
│     └── list
│          ├── GetSearchList.kt
│          └── ProductListDto.kt
├── di
│   └── DataModule.kt
├── domain
│   ├── product
│       ├── ProductRepository.kt
│       ├── ProductRepositoryImpl.kt
├── scenarios
│   ├── detail
│   │   ├── DetailActivity.kt
│   │   ├── DetailScreen.kt
│   │   └── DetailViewModel.kt
│   └── home
│   ├── HomeActivity.kt
│   ├── HomeScreen.kt
│   ├── HomeViewModel.kt
├── ui
   ├── component
    └── CommonComponent.kt
  • data : Spring에서는 Entitiy의 같은 느낌으로 사용하는 데이터의 타입을 표현합니다.

  • domain : api를 통해 실제 data에 해당하는 객체값을 가져오는 함수가 정의되어있습니다.

  • scenarios : 화면에 표현할 내용을 시나리오단위로 분리합니다.

    • Activity

    • Screen : 화면에 보여줄 요소를 정의합니다. 데이터는 ViewModel을 통해 가져옵니다.

    • ViewModel : 데이터 처리와 관련된 로직을 처리합니다. 특히 api를 통해 객체값을 가져올 때 domain의 정의된 함수를 불러옵니다.

이와 같이 화면에 보여지는 부분과 데이터의 처리부분을 분리하면

각 역할을 명확하게 분리하고 코드의 종속성을 줄일 수 있으며 확장성을 쉽게 고려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1. 검색창

현재 페이지는 상품을 검색하는 페이지 HomeView와 검색된 상품을 클릭했을 때 나타나는 DetailView로 분리되어있습니다.

그 중 상품 검색 페이지 부분의 코드입니다.

[Activity]

1
2
3
4
5
6
7
8
9
10
11
// HomeActivity
class HomeActivity : ComponentActivity()  {
    val viewModel by viewModels<HomeViewModel>()

    override fun onCreate(savedInstanceState: Bundle?) {
        super.onCreate(savedInstanceState)
        setContent {
            HomeScreen(viewModel)
        }
    }
}

상품 검색페이지를 나타내는 액티비티 입니다.

View에서 사용하기 위한 ViewModel을 다음과 같이 변수로 선언 후 파라메터로 넘겨줍니다.


[ViewModel]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HomeViewModel
class HomeViewModel(private val productRepository: ProductRepository = DataModule.productRepository) : ViewModel() {
    private  val _isLoading: MutableState<Boolean> = mutableStateOf(value = false)
    val isLoading : State<Boolean> = _isLoading

    private val _searchWidgetState: MutableState<Boolean> = //검색창 활성화 여부
        mutableStateOf(value = false)
    val searchWidgetState: State<Boolean> = _searchWidgetState

    private val _searchTextState: MutableState<String> = //검색 텍스트 값
        mutableStateOf(value = "")
    val searchTextState: State<String> = _searchTextState

    private val _itemList : MutableState<List<ProductListDto>> = mutableStateOf(listOf())
    val itemList:State<List<ProductListDto>> =_itemList; //화면에 표현될 list

    fun updateSearchWidgetState(newState: Boolean) { //활성화 여부 변경 함수
        _searchWidgetState.value = newState
    }

    fun updateSearchTextState(newValue: String) { //검색 텍스트 값 변경 함수
        _searchTextState.value = newValue
    }


ViewModel에서는 Screen에서 사용할 변수를 관리하고 갱신하는 함수를 정의합니다.

Q. private을 선언하고 이를 그대로 public변수에 넣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private을 사용하는 이유는 은닉화를 위해서이다. 외부 노출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 by멘토님


[Screen]

1
2
3
4
5
6
7
8
9
@Composable
fun HomeScreen(viewModel: HomeViewModel) {
    Search(viewModel) {
        Column(modifier = Modifier.fillMaxSize()) {
            ItemContent(modifier = Modifier.weight(1f), itemList = viewModel.itemList.value)
            CommonComponent.ButtomNavbar()
        }
    }
}

HomeScreen에서는 앞서 넘겨준 ViewModel을 파라메터로 입력받습니다.

추가로 화면에서 보여줄 itemList변수를 viewModel로부터 가져오고있는데 이 부분은 향후 api통신과 관련해서 다시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Composable
private fun Search(viewModel: HomeViewModel, content: @Composable () -> Unit) {
    val searchWidgetState by viewModel.searchWidgetState //활성화 여부
    val searchTextState by viewModel.searchTextState // 검색 변수
    val isLoading by viewModel.isLoading //로딩 함수
    val coroutineScope = rememberCoroutineScope() //코루틴 생성

    Scaffold(
        topBar = {
            SearchBar(
                searchWidgetState = searchWidgetState,
                searchTextState = searchTextState,
                onTextChange = {
                    viewModel.updateSearchTextState(newValue = it) //텍스트 값이 바뀌면 해당 텍스트로 변수 업데이트
                },
                onCloseClicked = {
                    viewModel.updateSearchWidgetState(newState = false) // 버튼이 눌리면 Search영역 비활성화

                },
                onSearchClicked = {
                    coroutineScope.launch { viewModel.searchApi(it) } //코루틴에서 Ktor-api호출
                },
                onSearchTriggered = {
                    viewModel.updateSearchWidgetState(newState = true) //Search영역이 클릭되면 Search영역 활성화
                    viewModel.updateSearchTextState("")
                }
            )
        }
    ) {
        if (isLoading) {
            CommonComponent.LoadingSpinner()
        } else {
            content()
        }
    }
}

search컴포넌트는 ViewModel로부터 각 변수값을 읽어옵니다.

상단의 검색창과 클릭 처리를 다음과 같이 Scaffold내부에서 처리하도록 구현하였습니다.

이후 로딩상태에 따라 content()호출을 통해 파라메터로 넘어온 상품 리스트 부분에 대한 컴포넌트를 불러옵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Composable
fun SearchBar(
    searchWidgetState: Boolean,
    searchTextState: String,
    onTextChange: (String) -> Unit,
    onCloseClicked: () -> Unit,
    onSearchClicked: (String) -> Unit,
    onSearchTriggered: () -> Unit
) {
    when (searchWidgetState) {
        false -> {
            DefaultAppBar(
                onSearchClicked = onSearchTriggered, //영역이 비활성화라면 초기에 보여줄 컴포넌트로 보여주기
                text = searchTextState
            )
        }
        true -> {
            SearchAppBar(
                text = searchTextState,
                onTextChange = onTextChange,
                onCloseClicked = onCloseClicked,
                onSearchClicked = onSearchClicked
            )
        }
    }
}

상단에서 호출한 SearchBar컴포넌트 입니다.

현재 검색버튼을 눌렀는지 여부에 따라 (searchWidgetState 변수) 각자 다른 디자인의 검색창 화면을 보여줍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Composable
fun SearchAppBar(
    text: String,
    onTextChange: (String) -> Unit,
    onCloseClicked: () -> Unit,
    onSearchClicked: (String) -> Unit,
) {
    Surface(
        modifier = Modifier
            .fillMaxWidth()
            .height(56.dp),
        elevation = AppBarDefaults.TopAppBarElevation,
        color = MaterialTheme.colors.primary
    ) {
        TextField(modifier = Modifier
            .fillMaxWidth(),
            value = text,
            onValueChange = {
                onTextChange(it)
            },
            placeholder = {
                Text(
                    modifier = Modifier
                        .alpha(ContentAlpha.medium),
                    text = "검색하기...",
                    color = Color.White
                )
            },
            textStyle = TextStyle(
                fontSize = MaterialTheme.typography.subtitle1.fontSize
            ),
            singleLine = true,
            leadingIcon = {
                IconButton(
                    modifier = Modifier
                        .alpha(ContentAlpha.medium),
                    onClick = {}
                ) {
                    Icon(
                        imageVector = Icons.Default.Search,
                        contentDescription = "Search Icon",
                        tint = Color.White
                    )
                }
            },
            trailingIcon = {
                IconButton(
                    onClick = {
                        onCloseClicked() //취소 버튼 누르면 closeClick()
                    }
                ) {
                    Icon(
                        imageVector = Icons.Default.Close,
                        contentDescription = "Close Icon",
                        tint = Color.White
                    )
                }
            },
            keyboardOptions = KeyboardOptions(
                imeAction = ImeAction.Search
            ),
            keyboardActions = KeyboardActions(
                onSearch = {
                    onSearchClicked(text)
                    onCloseClicked()
                }
            ),
            colors = TextFieldDefaults.textFieldColors(
                backgroundColor = Color.Transparent,
                cursorColor = Color.White.copy(alpha = ContentAlpha.medium)
            ))
    }
}

SearchAppBar에서는 “상품 검색 버튼을 눌러 활성화 되었을 때” 나타나는 화면입니다.

반대로 검색창을 닫거나 검색을 눌렀다면 default인 DeefaultAppBar 컴포넌트를 호출합니다.

디폴트 (DefaultAppBar)

검색 (SearchAppBar)

2. 검색 리스트

검색창에 특정 키워드를 입력하면 해당키워드에 대한 결과리스트를 api통신을 통해 가져와 화면에 보여주어야 합니다.

api는 예전 프로젝트에서 사용했던 api를 그대로 재사용했으며 통신을 위해서는 ktor을 사용했습니다.

1
2
3
4
5
6
7
8
//data/product/searchList/ProductListDto

@kotlinx.serialization.Serializable
data class ProductListDto(
    val productListDtoList: List<ProductInfoDto>,
    val totalNumber: Int
)
1
2
3
4
5
6
7
8
9
10
11
//data/product/searhList/ProductInfoDto

@kotlinx.serialization.Serializable
data class ProductInfoDto(
    val imageUrl: String,
    val minimumPrice: Int,
    val title: String,
    val url: String
)

검색된 리스트에 대한 데이터타입을 정의한 클래스입니다.

ProductListDto에서 입력된 상품의 개수와 정보리스트를 변수로 가져오고 ProductInfoDto에서 이미지, 최소가격, 이름, url등을 변수로 정의합니다.

또한 api통신의 결과값으로 받아오는 Json형태의 데이터를 객체로 역직렬화 하거나 객체의 데이터를 Json으로 직렬화 하기 위해 @kotlinx.serialization.Serializable 애노테이션을 붙여야합니다.

해당 라이브러리 사용을 위해

implementation "org.jetbrains.kotlinx:kotlinx-serialization-json:1.0.1" 의존성을 설정해야합니다.


이어서 Domain입니다. MVVM의 Model부분에 해당하는 코드입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di/DataModule
object DataModule {
    private val client: HttpClient = HttpClient(CIO) {
        install(JsonFeature) {
            serializer = KotlinxSerializer(
                kotlinx.serialization.json.Json {
                    prettyPrint = true
                    isLenient = true
                    ignoreUnknownKeys = true
                }
            )
        }
    }

    val productRepository: ProductRepository = ProductRepositoryImpl(client)

우선 DataModule의 경우 Http통신을 위한 client객체를 생성합니다.

Ktor을 사용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의존성을 추가합니다.

1
2
3
4
5
    implementation("io.ktor:ktor-client-core:1.6.7")
    implementation("io.ktor:ktor-client-cio:1.6.7")
    implementation("io.ktor:ktor-client-android:1.6.0")
    implementation("io.ktor:ktor-client-serialization:1.4.0")
    implementation "org.jetbrains.kotlinx:kotlinx-serialization-json:1.0.1"

또한 Coroutine I/O를 클라이언트로 엔진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파라메터로 CIO를 넘겨줍니다.

이후 15번째 줄에서 해당 클라이언트를 사용하는 ProductRepository를 만듭니다.

이런 방식으로 Client를 모듈로 관리하고 의존성 주입방식으로 도메인객체를 사용하는 DI방식을 취해야합니다.

Q. DI란?

의존성 주입을 의미. client는 모든 api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하나의 모듈로 선언해 보일러플레이트 문제를 방지 할 수 있다.

만약 DB를 바꾸게된다면 각각의 종속적인 DB에 대해 접근하는 메소드를 따로 다 만들어야한다. 하지만 15번째 줄과 같이 이미 구현한 도메인에 대해 사용하려는 도메인만 바꿔주면 전체 코드를 뜯어고치지 않고 쉽게 코드를 수정하고 유지보수 할 수 있다.


1
2
3
4
5
//domain/product/ProductRepository
interface ProductRepository {
    suspend fun fetchProductList(keyword: String): ProductListDto
}

1
2
3
4
5
//domain/product/ProductRepositoryImpl
class ProductRepositoryImpl(private val client: HttpClient): ProductRepository {
    override suspend fun fetchProductList(keyword: String): ProductListDto =
        client.get(" ... ")
}

각 데이터를 가져오는 api에 대한 메소드를 인터페이스로 선언합니다.

그 후 이를 상속받아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도록 내부 메소드를 구체적으로 구현합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HomeViewModel
suspend fun searchApi(keyword:String) {
        _isLoading.value = true
        withContext(Dispatchers.IO) {
             kotlin.runCatching {
                productRepository.fetchProductList(keyword)
            }.onSuccess {
                 _isLoading.value = false
                 _itemList.value = it.productListDtoList //성공시 데이터 갱신
                 LogHelper.print("succses: ${it.productListDtoList.size}")
             }.onFailure {
                 LogHelper.print("Failure: $it")
             }
        }
    }
1
2
3
4
// HomeScreen
val coroutineScope = rememberCoroutineScope() //코루틴 생성
coroutineScope.launch { viewModel.searchApi(it) } //api호출

이어서 ViewModel에서는 api를 호출해 선언한 변수에 값을 저장합니다.

추가로 api통신이 이루어지는 동안 로딩화면을 띄위기 위해 추가적으로 isLoading변수에 값을 넣어 통신이 완료되는지 확인하였습니다.

api통신은 비동기로 처리되어야 하므로 코루틴 기반의 API사용을 위해 suspend 를 사용합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HomeScreen.kt
@Composable
fun ItemContent(modifier: Modifier = Modifier, itemList: List<ProductInfoDto>) {
    Column(
        modifier = modifier
            .padding(12.dp)
    ) {
        LazyColumn {
            items(items = itemList) {
                ItemRow(item = it)
            }
        }
    }
}

각각의 상품리스트를 보여줄 ItemContent입니다.

한 페이지에 다수의 요소를 보여줘야하므로 LazyColumn을 사용해 내부 컴포넌트를 호출합니다.

LazyColumn이란?

화면에 보이는 컴포저블만을 표시하는 Column입니다. 만약 수백개의 데이터가 한 화면을 다 구성하게 된다면 로딩시간이 많이 걸리게 되므로 많은 아이템이 표현될 때 사용해야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Composable
fun ItemRow(item: ProductInfoDto) { //각 상품에 대한 설명
    val context = LocalContext.current

        Card(
        modifier = Modifier
            .padding(4.dp)
            .fillMaxWidth()
            .height(320.dp),
        shape = RoundedCornerShape(corner = CornerSize(14.dp)),
        elevation = 5.dp
    ) {
        Column(
            modifier = Modifier
                .fillMaxWidth()
                .padding(16.dp),
            verticalArrangement = Arrangement.Bottom
        ) {
            Box(
                modifier = Modifier
                    .fillMaxWidth()
                    .height(230.dp)
            ) {
                AsyncImage(
                    modifier = Modifier
                        .fillMaxWidth(),
                    model = item.imageUrl,
                    contentDescription = "image"
                )
            }
            Column(modifier = Modifier.fillMaxSize(),    verticalArrangement = Arrangement.Center,
                horizontalAlignment = Alignment.CenterHorizontally) {
                Text(
                    text = item.title,
                    style = MaterialTheme.typography.h5,
                    overflow = TextOverflow.Ellipsis,
                    maxLines = 1
                )
                Text(
                    text = UnitHelper.getStringFromMoneyInteger(item.minimumPrice),
                    style = MaterialTheme.typography.h6
                )
            }
        }
    }

구체적인 화면을 나타내는 컴포넌트입니다.

image

이어서 다음부터는 각 상품을 클릭했을 때 구체적인 상품정보를 나타낼 수 있도록 구현해보겠습니다.

참고링크

Stevdza-San-youtube

Medium

devowen.com

댓글남기기